한옥의 가치

한옥의 가치

한옥이란 선사시대부터 우리나라에 우리 고유의 기술과 양식으로 지은 건축을 의미한다. 좁은 범위로는 ‘주거용 살림집’을 의미하며, 넓은 범위로는 ‘한국 전통건축 전체’를 포함한다. 한옥이라는 용어는 1907년부터 문헌에 등장하기 시작하였으며, 1975년 ‘삼성새우리말 큰사전’에 ‘우리나라 고유의 양식으로 지은 집을 양식 건물에 상대하여 부르는 말’이라고 정의되어 있다. 한옥의 기원은 기원전 6,000년경 신석기시대 전기의 움집이며, 조선시대 후기에 전통한옥이 완성된 것으로 본다. 이 시기에 한옥은 공간구성의 기본단위인 온돌, 마루, 부엌이 완전히 결합하여 각 마당과 밀접한 관계를 갖게 되고 다양한 지역형으로 분화하게 되었다.

최근 한옥은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재조명되어 아파트와 다세대주택 등 기존 주거의 대안으로 큰 관심을 얻고 있다.

  • 자연과의조화

    우리 조상들은 자연과의 조화를 최고의 이상으로 삼았으며, 따라서 한옥은 이를 반영하여 자연에 순응하여 계획되었다. 즉, 한옥은 주위의 환경과 어울리도록 집의 좌향을 잡고 그곳에서 나오는 재료를 사용하여 그곳의 지세에 맞는 형태로 지어졌다. 이를 통해 한옥은 자연과 그 안에서 생활하는 인간이 하나가 되었다.

    한옥사진
  • 온돌의 따스함

    아파트가 보편화된 현재까지도 우리나라 주거에서 볼 수 있는 대표적인 한옥의 건축요소는 온돌이다. 온돌은 공기가 아닌 바닥을 데우기 때문에 실내 환경이 쾌적하며, 요리와 난방을 동시에 해결할 수 있어서 매우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시스템이었다. 나무를 때서 직접 열을 내던 전통 온돌은 보일러가 도입되면서 물을 끓여 순환하는 방식으로 바뀌었다.

  • 친환경적인 건축

    한옥에는 현대 건축에서 생기는 공해가 거의 없다. 한옥건물에 쓰인 재료들은 대부분 재활용이 가능하다. 돌과 나무는 인위적으로 가공하지 않은 자연상태 그대로 사용하였다. 또한 아파트 등 다른 재료의 건물에 비해 독성이 없어서 인간의 몸에 해롭지 않으며, 건물을 짓기 위해 터전을 훼손시키지 않는다.

  • 곡선의 아름다움

    한옥의 지붕은 한옥의 인상을 결정하는데, 지붕의 아름다움은 날렵한 곡선에서 비롯된다. 자연스럽게 끝을 올린 한옥의 곡선은 중국과 일본의 전통건축에서 볼 수 있는 직선적인 지붕 형태에 비해 고전적인 아름다움을 지켜오고 있다.

    한옥사진
  • 열려있는 마루

    온돌이 추위에 적응하기 위하여 발달된 건축요소라면, 마루는 더위에 적응하기 위하여 발달된 한옥의 건축요소이다. 마루는 바닥에서 떨어진 나무로 만든 공간이며, 바닥면의 습기가 닿지 않고 바람을 통하게 함으로써 쾌적한 여름을 보낼 수 있도록 한다. 또 마루는 여러 방을 연결하거나 물건을 보관하는 장소로도 이용된다.

    한옥사진
  • 선사시대

    한반도에는 구석기시대인 기원전 70만 년 전부터 사람이 살기 시작했다. 이후 기원전 신석기시대 전기인 6,000년경부터 정착생활 및 집단생활을 하면서 움집을 짓기 시작했다. 움집은 땅을 파서 사람이 머물 공간을 만들고 그 위를 나무와 풀로 덮은 원시적 형태의 집이다. 청동기시대에는 쌀농사가 시작되면서 움집의 내부공간이 분화되기 시작하였다. 초기철기시대에는 움집이 차츰 줄어들고, 기둥을 세워 벽을 만들고 지붕을 얹는 기술이 발달했으며, 마루바닥을 지면보다 올려 짓는 고상식(高床式) 건물도 세워지게 되었다.

  • 삼국시대와 남북국시대

    고구려, 백제, 신라 등 고대국가가 등장하면서, 궁궐, 사찰 등 다양한 유형의 건축물이 지어지기 시작하였다. 이들 국가의 건물에는 기와가 사용되었으며, 우진각지붕, 맞배지붕, 팔작지붕이 올려졌다. 또한 온돌을 사용했던 흔적이 나타난다.통일신라시대에는 불교의 융성과 더불어 목조건축기술이 크게 발전하여, 사찰의 건립이 많았으며 서민들의 집도 고급화되기 시작하였다.

    한옥사진
  • 고려시대

    고려시대 역시 불교가 융성하여 사찰의 건립이 많았으며, 봉정사 극락전, 부석사 무량수전, 수덕사 대웅전 등 예술성이 높은 건축물이 지어졌다. 한편, 문화의 중심이 경주에서 개성으로 이동하면서 외국과의 접촉이 잦아졌고 이는 건축문화가 서로 합쳐지며 넓은 지역으로 퍼져나가는 계기가 되었다. 14세기 이후에는 온돌구조가 널리 보급되기 시작하였으며, 건물의 규모를 칸으로 세는 개념이 보편화 되고, 한 건물의 내부를 여러 가지 기능으로 나눠 쓰는 방식이 발달하게 되었다.

    한옥사진
  • 조선시대

    조선시대에는 유교와 관련된 향교, 서원 등이 전국적으로 건립되었고 집집마다 조상의 신위를 모시는 사당이 지어졌다. 유교는 주거 형태에도 큰 영행을 미쳤는데, 신분에 따라 집 터의 규모, 집의 칸수, 나무 부재의 치수 등이 제한되었으며 남녀유별, 장유유서의 관념은 주거의 공간구분으로 이어졌다. 또한 북방에만 있던 온돌이 중부 지방까지 보급되었으며, 남방의 마루가 북쪽으로 전파되었다. 조선시대에는 온돌, 마루, 부엌이 한 건물 안에 완전히 결합하여, 각 지역의 기후와 조건에 맞는 다양한 평면형태가 발달하였다.

    한옥사진
  • 근대화시대 이후

    조선시대에는 유교와 관련된 향교, 서원 등이 전국적으로 건립되었고 집집마다 조상의 신위를 모시는 사당이 지어졌다. 유교는 주거 형태에도 큰 영행을 미쳤는데, 신분에 따라 집 터의 규모, 집의 칸수, 나무 부재의 치수 등이 제한되었으며 남녀유별, 장유유서의 관념은 주거의 공간구분으로 이어졌다. 또한 북방에만 있던 온돌이 중부 지방까지 보급되었으며, 남방의 마루가 북쪽으로 전파되었다. 조선시대에는 온돌, 마루, 부엌이 한 건물 안에 완전히 결합하여, 각 지역의 기후와 조건에 맞는 다양한 평면형태가 발달하였다.

    한옥사진
  • 한옥에 대한 관심증대

    한옥사진근대화 과정에서 아파트 등에 의하여 한옥의 맥은 거의 단절되었다. 하지만 1990년대부터 환경 친화적이면서도, 우리나라 고유의 건축이자, 공간 구성이 아름다운 한옥의 가치가 재발견되기 시작하였다. 이에 따라 한옥에 대한 관심은 높아지고 있으며, 최근에는 한옥을 보전하고 현대화하기 위한 논의가 진행되고 있다.

  • 신한옥의 필요조건

    현재 한옥이 널리 사용되지 않는 이유로는 ‘설비로 인한 생활의 불편’, ‘유지관리의 어려움’, ‘신축에 필요한 높은 비용’으로 조사된다. 따라서 현대의 새로운 한옥은 이를 반영하여 한옥의 설계 및 시공을 현대화,산업화, 대중화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한옥사진
  • 신한옥의 가능성

    최근에는 한옥을 살림집이 아닌, 새로운 용도로 이용하고 있는 경우를 쉽게 발견할 수 있다. 대표적인 것으로 기존의 한옥을 음식점 및 카페 등의 상업시설, 건축 사사무소 등의 업무시설, 미술관 및 박물관 등의 문화시설 등으로 개축한 것을 들 수 있다. 또한 숙박시설 및 공공시설 등이 신한옥으로 계획되어 좋은 평가를 받고 있다. 이와 더불어 신축 아파트에 한옥의 공간 구성과 장식 요소를 반영하여 큰 호응을 얻고 있으며, 신도시와 뉴타운에도 한옥마을을 건립하는 등 신한옥의 새로운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이처럼 신한옥이 기존의 한옥이 가진 장점을 살리면서 현대 생활에 필요한 요구를 계속 수용해 간다면, 신한옥에 대한 높은 관심과 좋은 반응은 앞으로 더욱 증대될 전망이다.

    한옥사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