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옥의 보전 및 활성화에 관한 사회적 요구가 확대되고 있는 시점에서 우리 고유의 건축 유형인 한옥은 다양한 도시경관을 창출하고 새로운 주거환경의 대안이 된다는 점에서 큰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또한 전통, 문화뿐만 아니라 한옥에 대한 관심은 날로 높아져 가고 있으며, 한옥의 현대화 및 활성화에 대한 사회적, 정책적 관심이 높아지면서 정부 주도로 한옥기술개발연구 사업이 시작되었다.
이에 따라 전통적인 생활양식과 현대 생활양식에 따른 변화와 한옥 내 생활에 대한 공간의 구성방식 등 개선과 모색이 필요하다. 이는 지역적으로 변화되는 평면과 유형별 특성, 규모 등 개선이 필요하며 현대생활에 필요한 침실개수와 욕실, 수납공간 등 다양한 재해석 및 인식 변화가 필요하다. 문제는 전통한옥의 구조와 형태를 어디서부터 어디까지 수용하여 적용할 것인가에 대한 것이다.
이는 현대화된 신한옥의 보급과 활용에 대한 중요한 부분이며 시민으로부터 멀어진 우리 문화에 대한 미래상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문제점 | 개발기술 | |
설계기술 |
|
|
생산 및 시공기술 |
|
|
성능기술 |
|
|
DB 구축기술 |
|
|
1세부 명지대학교 |
2세부 한국건설기술 |
3세부 전남대학교 |
4세부 서울대학교 |
|
통합시공시스템 개발 | 한스타일 개발을 통한 한옥모델개발 | 한옥성능요서 기술개발 | 한옥 통합시스템 및 3차원 한옥부재 라이브러리 구축 | |
연구과제 |
|
|
|
|
연구 내용 |
|
|
|
|
참여기업 |
|
|
|
|
한옥에 사용되는 목부재의 가공기계 개발하고 대량생산 할 수 있는 라인을 구축한다. 이는 한옥 시공기준, 한옥 부위별 변형 측정 기술 및 관리기준 개발 등이 우선 개발되야 하므로 대량 생산기반 시스템 구축을 한다.
한옥의 다양한 가치와 우수성을 계승하고, 현대인의 라이프스타일이 반영된 다양하고 우리의 정서에 맞는 한옥모델 및 설계기법을 개발한다. 이는 한(韓) 브랜드가 세계화 될 수 있는 중요한 기반을 제공할 것이다.
DB 구축은 통합설계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작성되며 한옥의 생산과 유지관리 등을 체계적으로 관리한다. 또한 전통한옥 디자인 기법 및 요소 분석을 통해 DB구축하고 우리 문화의 전통적 디자인 요소를 활성화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