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한옥지도

연구자료

번호 제목 지역 조회수
< 97 98 99 100 101 >
322 영남지역 전통주거건축 공간의 유형화에 관한 연구 경상북도 1602
321 맥락개념을 통한 전통주거건축의 외부공간 경상북도 1717
320 Characteristics of Residential Buildings designated as Korean National Treasures 경상북도 1617
319 한국전통주택과 북경사합원에 관한 비교 연구 경상북도 1678
318 풍수지리사상적 관점에서 본 전통 주거 공간구성의 생태학적 특성 경상북도 1625
317 조선시대 구자형 상류주택의 공간구성체계에 관한 연구 경상북도 1558
316 영남지방 고유취락의 공간구조 1 경상북도 1685
315 양동마을 전통주택의 생활공간 변화가 외관에 미친 영향 연구 경상북도 1612
314 민속마을 및 전통주택의 보존 경상북도 1726
313 환경심리학적 측면에서 본 주거건축공간에 관한 연구 - 조선시대 상류주거 건축공간을 중심으로 경상북도 1640
312 朝鮮時代 口字型 上流住宅의 空間構成體系에 관한 硏究 경상북도 1479
311 "朝鮮時代 上流住宅의 空間構造에 關한 硏究 경상북도 1519
310 한국전통주거의 다양한 지면의 변화에 의한 공간의 계층적 질서에 관한 연구 - 조선시대 상류주택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Hierarchical Order of Various Floor-Levels in traditional Korean Residence ) 경상북도 1525
309 주생활과 공간구조와의 관계에 따른 조선시대 상류주택 분석 경상북도 1631
308 朝鮮前期 上流住宅에서 행랑채의 時代的 性格에 關한 硏究 - 慶北地方의 'ㅁ'字形 住宅을 中心으로 - 경상북도 15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