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67 |
양택론과 농촌지역 전통가옥의 배치형태에 관한 연구 |
경상북도 |
1675 |
366 |
전통주택의 향에 관한 고찰 |
경상북도 |
1583 |
365 |
전통 주거건축의 대문에 관한 연구 |
경상북도 |
1631 |
364 |
영남지역 전통주거건축 공간의 유형화에 관한 연구 |
경상북도 |
1605 |
363 |
원형적 공간 요소로 본 한국주택 평면형식의 통시적 고찰 |
경상북도 |
1643 |
362 |
한국 전통주거에 있어서 안채와 사랑채의 분화과정에 대한 연구 |
경상북도 |
1605 |
361 |
조선시대 구자형 상류주택의 공간구성체계에 관한 연구 |
경상북도 |
1536 |
360 |
전통주거에서 [문]에 의한 공간실험에 관한 연구 |
경상북도 |
1796 |
359 |
맥락개념을 통한 전통주거건축의 외부공간 |
경상북도 |
1644 |
358 |
Characteristics of Residential Buildings designated as Korean National Treasures |
경상북도 |
1583 |
357 |
한국전통주택과 북경사합원에 관한 비교 연구 |
경상북도 |
1620 |
356 |
조선시대 구자형 상류주택의 공간구성체계에 관한 연구 |
경상북도 |
1524 |
355 |
조선시대주거[독락당] 일곽에 관한 연구(II) |
경상북도 |
1698 |
354 |
조선시대주거 [독락당] 일곽에 관한 연구(I) |
경상북도 |
1633 |
353 |
朝鮮時代 口字型 上流住宅의 空間構成體系에 관한 硏究 |
경상북도 |
15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