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32 |
조선시대 상류주택의 공간조영 사상에 관한 연구 |
경상북도 |
1496 |
531 |
조선시대 상류주택 사랑대청의 실내입면구성요소에 관한 연구 |
경상북도 |
1617 |
530 |
朝鮮時代 上流住宅 담의 意匠性에 관한 硏究 |
경상북도 |
1382 |
529 |
조선 상류주택의 사랑채 樓마루 형성과정에 관한 연구 |
경상북도 |
1617 |
528 |
안채, 사랑채의 재해석을 통한 직주통합형 주거 유형 개발에 관한 연구 |
경상북도 |
1525 |
527 |
한옥공간의 문화정치학 |
경상북도 |
1604 |
526 |
원형적 공간 요소로 본 한국주택 평면형식의 통시적 고찰 |
경상북도 |
1576 |
525 |
신한옥마을 조성을 위한 계획기준 |
경상북도 |
1602 |
524 |
신한옥마을 도입을 위한 정책방향 연구 |
경상북도 |
1470 |
523 |
문화재 지정 근대기 한옥의 개조 및 변경에 대한 설계자의 의식조사 |
경상북도 |
1467 |
522 |
한국 전통주거환경의 풍수 특성 분석 |
경상북도 |
1424 |
521 |
한국 전통주거에 있어서 안채와 사랑채의 분화과정에 대한 연구 |
경상북도 |
1559 |
520 |
조선시대 구자형 상류주택의 공간구성체계에 관한 연구 |
경상북도 |
1452 |
519 |
영남지역 전통주거건축 공간의 유형화에 관한 연구 |
경상북도 |
1481 |
518 |
맥락개념을 통한 전통주거건축의 외부공간 |
경상북도 |
154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