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77 |
「중요도-실행도」 분석을 통한 전통가옥 민박환경속성 평가: 안동의 "지례 예술촌"과 전주의 "세화관" 사례연구를 중심으로 |
경상북도 |
1499 |
576 |
사례를 통한 전통건축의 환경적 요소 활용 방안 연구 |
경상북도 |
1717 |
575 |
退溪 李滉의 莊屋 變遷에 관한 硏究 |
경상북도 |
1482 |
574 |
공간구문론 ( Space Syntax )을 이용한 조선시대 안동지역 상류주택 공간배치 분석 ( Analysis of High-Class Andong Area Traditional Houses of Chosun In the Context of Space Syntax ) |
경상북도 |
1540 |
573 |
하회마을에 대한 고찰 |
경상북도 |
1469 |
572 |
영남지방 4대 전통취락의 지형적 입지 특성 |
경상북도 |
1586 |
571 |
전통주택의 향에 관한 고찰 |
경상북도 |
1565 |
570 |
민속마을 및 전통주택의 보존 |
경상북도 |
1463 |
569 |
한국전통마을 立地選定에 나타난 공간적 特性에 관한 연구 |
경상북도 |
1506 |
568 |
韓國傳統建築 . 6 , 民家 下 |
경상북도 |
1426 |
567 |
安東河回마을 . 1 |
경상북도 |
1432 |
566 |
안동하회마을 |
경상북도 |
1498 |
565 |
佳日樹谷古宅 : 중요민속자료(제176호)기록화보고서 |
경상북도 |
1505 |
564 |
한ㆍ중ㆍ일 가족관계에 따른 전통주거공간 비교연구 |
경상북도 |
1638 |
563 |
한국전통주거에서의 제3의 영역 해석 가능성에 관한 연구 |
경상북도 |
156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