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17 |
도시형 한옥의 외관 유형 |
서울특별시 |
1430 |
816 |
도시형 한옥의 가로축 입면 변화 |
서울특별시 |
1401 |
815 |
도시형 한옥과 도시주거문화 |
서울특별시 |
1610 |
814 |
도시형 전통주거의 평면유형에 관한 연구 - 가회동 개량한옥 지구를 중심으로 |
서울특별시 |
1681 |
813 |
도시적 맥락에서 본 전통한옥의 공간구성 변화에 관한 연구 |
서울특별시 |
1578 |
812 |
근대화 과정에서 전통한옥 주거양식의 변화과정 |
서울특별시 |
1717 |
811 |
경사지 도시한옥의 외부공간 구성방식에 관한 연구 |
서울특별시 |
1644 |
810 |
가회동과 계동 도시한옥 주거지의 도시조직 연구 |
서울특별시 |
1540 |
809 |
1930년대 경성부 도시형 한옥의 사회·경제적 배경과 평면계획의 특성 ( The Socio-economical Background and Characteristics of Plan of Urban Traditional Housing in Seoul of 1929s ) |
서울특별시 |
1527 |
808 |
1928년대 이후 서울의 도시한옥 주공간과 주생활의 변화특성 |
서울특별시 |
1548 |
807 |
모델한옥의 공간 융통성에 관한 연구 |
서울특별시 |
1527 |
806 |
원형적 공간 요소로 본 한국주택 평면형식의 통시적 고찰 |
서울특별시 |
1623 |
805 |
1950年代 서울지역 簡易韓屋의 조사 연구 |
서울특별시 |
1599 |
804 |
1950年代 서울지역 ‘簡易韓屋’의 조사연구 (A Study of the Simplified Hanok in Seoul in the 1960s) |
서울특별시 |
1456 |
803 |
생활에 대응하는 재래주택의 공간구성 변화에 관한 현장조사 연구 (서울을 중심으로) |
서울특별시 |
147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