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 |
강릉 선교장 가족성원의 역활을 통해 본 전통 주거공간의 재조명 |
강원도 |
1930 |
21 |
가족성원의 역할을 통해 본 전통 주거공간의 재조명 |
강원도 |
1955 |
20 |
전통주택 선교장의 건축이론과 계획개념 연구 |
강원도 |
1986 |
19 |
환경심리학적 측면에서 본 주거건축공간에 관한 연구 - 조선시대 상류주거 건축공간을 중심으로 |
강원도 |
2119 |
18 |
유학적 생활규범에 의한 조선시대 주거건축의 공간구성에 관한 연구 |
강원도 |
1869 |
17 |
朝鮮時代 兩班住宅 平面의 開放性에 關한 硏究 |
강원도 |
1845 |
16 |
조선시대 상류주택의 공간조영 사상에 관한 연구 |
강원도 |
1987 |
15 |
朝鮮時代 上流住宅 사랑채 樓마루의 外部空間的 特性에 關한 硏究 |
강원도 |
1750 |
14 |
조선시대 상류주택 사랑대청의 실내입면구성요소에 관한 연구 |
강원도 |
1874 |
13 |
조선시대 상류주택 누마루의 변천과정 및 특성에 관한 연구 |
강원도 |
1906 |
12 |
한옥 설계와 시공의 기법과 적용 |
강원도 |
1843 |
11 |
傳統韓屋과 現代住宅에 있어서 室內造景의 比較硏究 |
강원도 |
1779 |
10 |
영동문화권 뜰집의 공간구성 특성에 관한 연구 |
강원도 |
1937 |
9 |
영동문화권 뜰집의 공간구성 특성에 관한 연구 |
강원도 |
1804 |
8 |
건축의 기호론적 해석-조선시대 상류주택에의 적용 |
강원도 |
1989 |